서대산 충청남도에서 가장 높은 서대산은 충북 옥천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조선시대의 기록에 의하면 서대산은 금산의 깊은 산중으로 인식되어 있었던 것 같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조선초기 이전에 서대산에 3개의 서대사가 있어 꽤 알려졌던 모양이며 서대사의 서편 기슭에 있는 현재의 원흥사 터에 서.. 산행지도·코스/ㅅ 2010.01.14
상해봉 ♣ 먼 옛날 바다였는데 지금은 봉우리가 되어 상해봉(上海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전설을 간직한산. 산꼭대기에 배를 매어 두었다는 전설이 전해오는 산, 강원도 철원군 서면과 근남면, 화천군 사내면, 그리고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의 경계선상에 위치한 광덕산(1046)과 상해봉(1000)은 약 1.5km의 거리.. 산행지도·코스/ㅅ 2010.01.13
소백산 소백산 높이 : 1439.5m 위치 : 충청북도 단양군, 경상북도 영주시·봉화군 면적 : 320.5k㎡ 특징 : 소백산은 장엄하면서도 완만한 산등성이와 끝없이 펼쳐지는 운해(雲海)가 울창한 삼림, 수려한 계곡과 어울려 장관을 이루는 산이다. 또한 산등성이는 이른 여름에는 철쭉, 겨울에는 설화로 새옷을 갈아입으.. 산행지도·코스/ㅅ 2009.11.14
속리산 한국 팔경 중 하나인 속리산(1.57m)은 태백산맥에서 남서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소백산맥 줄기 가운데 위치한 충북 보은군, 괴산군, 경북 상주군과 경계를이루고 있다. 속리산은 화강암을 기반으로 변성퇴적암이 섞여 화강암 부분은 날카롭게 솟아오르고 변성퇴적암 부분은 깊게 패여 높은 봉우리와 .. 산행지도·코스/ㅅ 2009.11.04
선운산 전북 고창군 아산면과 심원면 경계에 있는 산.높이 336m이다. 본래 도솔산이었으나 백제 때 창건한 선운사가 유명해지면서 선운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주위에는 구황봉(298m)·경수산(444m)·개이빨산(345m)·청룡산(314m) 등의 낮은 산들이 솟아 있다. 그다지 높지는 않으나 ‘호남의 내금강’이라 불릴 .. 산행지도·코스/ㅅ 2009.11.04
석룡산 석룡산 1,155m 한북정맥 지류에 있는 석룡산은 오른쪽으로 화악산, 중봉이 있고 왼쪽으로는 국망봉이 버티고 서 있다. 그 지류를 따라 서남쪽으로 내려서면 민둥산과 강씨봉이 있고 산 능선을 타고 남쪽으로 내려서면 명지산과 연인산으로 이어진다. 능선코스와 계곡코스를 한번에 즐길 수 있는 석룡산.. 산행지도·코스/ㅅ 2009.10.24
설악산 설악산 높이 1,708m. 태백산맥에 속하며, 주봉은 대청봉이다. 한국(남한)에서 한라산(1,950m)·지리산(1,915m)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산이며, 제2의 금강산이라 불린다. 음력 8월 한가위에 덮이기 시작하는 눈이 하지에 이르러야 녹는다 하여 설악이라 했다. 신성하고 숭고한 산이란 뜻으로 설산(雪山)·설봉산.. 산행지도·코스/ㅅ 2009.10.24
삼각산 삼각산(북한산) 북한산의 최초 명칭은 부아악(負兒岳)입니다. 부아악이란 명칭은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국망봉)의 어느 암봉 뒤에 애를 업은 형상의 바위가 붙어있다 해서 불렀다는 설(說 )과 산봉이 뿔처럼 뾰족하게 생겨 불렀다는 (부아 →불→뿔)설이 있습니다. 삼국시대에 부아 또는 횡악(橫岳)으.. 산행지도·코스/ㅅ 2009.10.03
수락산 수락산 [水落山] 수락산--> 경기도 의정부시와 남양주시 별내면 경계에 있는 산. 높이 638m. 도봉산·북한산과 마주보고 있으며, 남쪽 능선은 덕능고개를 중심으로 불암산과 이어진다. 산세는 비교적 험하지 않으며, 중랑천의 지류가 발원한다. 기반암은 화강암이며, 암벽이 곳곳에 드러나 있어 수림이 .. 산행지도·코스/ㅅ 2009.10.03
사명산 :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 화천군 간동면 코스1: 양구읍 웅진리 -선정사 -우측능선 -정상 -남릉 -1162봉 -문바위봉 못미쳐 동쪽계곡 -용수암 -선정사 -웅진리 코스2: 추곡약수 주차장 -동쪽지능선 -주능선 -갈림길 -문바위 -출렁다리 -문바위봉 -정상 -동쪽계곡 -선정사 -웅진리 교통: 서울상봉터미널 - 춘천(1.. 산행지도·코스/ㅅ 2009.09.26